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누크] 8일차 Scanline render
    카테고리 없음 2024. 7. 23. 18:35
    728x90
    반응형
    누크의 scanlinerender 노드에 대해서 설명해줘
     
    ChatGPT

    누크(Nuke)의 ScanlineRender 노드는 3D 장면을 2D 이미지로 렌더링하는데 사용되는 매우 중요한 노드입니다. 이 노드를 사용하면 3D 씬의 다양한 요소들을 합성하고, 이들을 실제 화면에 렌더링하여 최종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ScanlineRender 노드는 3D 씬의 객체, 조명, 카메라 등의 요소를 결합하여 2D 평면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요 기능 및 속성

    1. 입력 노드
      • scene: 3D 씬의 오브젝트와 라이팅을 포함한 모든 3D 요소들이 연결됩니다.
      • camera: 3D 씬을 보는 시점을 제공하는 카메라가 연결됩니다.
      • bg (배경): 선택적 입력으로, 3D 씬이 렌더링될 배경 이미지가 연결됩니다.
    2. 속성 (Properties)
      • camera: 렌더링에 사용할 카메라를 선택합니다.
      • output mode: 렌더링 결과의 출력 모드를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 뎁스 패스, 법선 패스, 포지션 패스 등 다양한 렌더 패스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 shutter: 모션 블러를 위한 셔터 타이밍을 설정합니다.
      • motion blur: 모션 블러의 강도를 설정합니다.
      • anti-aliasing: 앤티 앨리어싱의 수준을 설정하여 렌더링된 이미지의 품질을 조정합니다.
      • sample quality: 샘플의 품질을 설정하여 렌더링 정확도를 조정합니다.
    3. 라이팅과 쉐이딩
      • ScanlineRender 노드는 씬 내의 조명 설정을 사용하여 3D 오브젝트에 실시간으로 라이팅과 쉐이딩을 적용합니다.
      • 각기 다른 재질과 텍스처를 가진 오브젝트들을 정확하게 렌더링합니다.
    4. 렌더 패스
      • 다양한 렌더 패스를 지원하여, 합성 과정에서 필요한 각종 정보를 별도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뎁스(Depth), 노멀(Normal), 포지션(Position) 패스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 예시

    1. 기본 설정
      • 3D 씬과 카메라를 준비한 후, ScanlineRender 노드에 연결합니다.
      • 기본적으로 씬과 카메라를 선택한 후, 렌더링을 수행하면 2D 이미지가 생성됩니다.
    2. 모션 블러 적용
      • 모션 블러 속성을 조정하여 움직임이 있는 오브젝트에 자연스러운 블러 효과를 추가합니다.
    3. 다양한 렌더 패스 출력
      • 합성 작업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여러 렌더 패스를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 뎁스 패스를 사용하여 포커스 효과를 추가하거나, 노멀 패스를 사용하여 리라이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결론

    ScanlineRender 노드는 Nuke에서 3D 합성 작업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며, 3D 씬을 2D 이미지로 변환하는데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다양한 설정과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고품질의 렌더링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후반 합성 작업에서 필요한 다양한 렌더 패스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ㅓㅁ Ray render와의차이는?

    RayRender

    기능과 속성

    • 렌더링 방식: RayRender 노드는 레이 트레이싱 방식으로 렌더링을 수행합니다. 이 방식은 광선이 카메라에서 출발하여 씬의 객체와의 교차점을 계산해 픽셀 색상을 결정합니다.
    • 속도: 일반적으로 ScanlineRender에 비해 느리지만, 정확하고 고품질의 렌더링 결과를 제공합니다.
    • 메모리 사용량: 더 많은 메모리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 기본 사용 사례: 포토리얼리스틱 렌더링, 복잡한 광학 효과(반사, 굴절, 전역 조명 등)가 필요한 경우.
    • 모션 블러와 딥스 오브 필드: 더 높은 품질의 모션 블러와 딥스 오브 필드를 제공합니다.
    • 조명: 복잡한 조명 계산을 지원하며, 물리적으로 정확한 조명 효과를 구현합니다.

    장점

    • 고품질, 포토리얼리스틱 렌더링.
    • 복잡한 광학 효과 지원(반사, 굴절 등).
    • 물리적으로 정확한 조명과 그림자.

    단점

    • 느린 렌더링 속도.
    • 더 많은 메모리와 컴퓨팅 리소스를 요구.

     

    요약 비교

    특징ScanlineRenderRayRender

    렌더링 방식 스캔라인 렌더링 레이 트레이싱
    속도 빠름 느림
    메모리 사용량 적음 많음
    광학 효과 기본적인 효과(반사, 굴절 한계) 고품질 효과(반사, 굴절, 전역 조명 등)
    사용 사례 일반 3D 합성, 모션 그래픽 포토리얼리스틱 렌더링, 복잡한 광학 효과
    조명과 그림자 기본적인 조명과 그림자 물리적으로 정확한 조명과 그림자
    모션 블러/DOF 기본 지원 고품질 지원

    결론

    • ScanlineRender는 빠른 결과가 필요하고 복잡한 광학 효과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적합합니다.
    • RayRender는 고품질의 포토리얼리스틱 렌더링이 필요할 때, 그리고 복잡한 광학 효과가 중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작업의 요구 사항에 따라 적절한 렌더러를 선택하면 효율적이고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앰비언트오클루젼 표현이  rayrender에서만 보임. 스캔라인렌더러에서는 안보임...

    왜냐면 앰비언트오클루젼... 음영은 레이렌더에서!

    728x90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