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후디니] Pscale?Houdini 2024. 6. 12. 03:34
후디니에서 pscale은 파티클이나 지오메트리 포인트의 스케일을 조절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속성입니다. pscale은 각 포인트의 스케일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여, 파티클 시스템이나 복잡한 지오메트리 작업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pscale의 기능과 사용 방법속성 설정:pscale은 포인트 속성으로 설정되며, 각 포인트에 대해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각 포인트의 크기를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파티클 시스템에서 각 파티클의 크기를 랜덤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VEX 및 VOP에서의 사용:pscale 값을 설정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VEX (벡터 표현식 언어)를 사용하는 것입니다.예를 들어, Attribute Wrangle 노드에서 다음과 같이 사용할..
-
[애프터이펙트] 13일차 3d 카메라 레이어카테고리 없음 2024. 6. 12. 03:12
1. 에프터이펙트에서 3D 영상을 만듦에 있어서 꼭 필요한 레이어는 카메라 레이어(Camera Layer)이다. 카메라 레이어는 Layer > New > Camera를 통해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하는 단축키는 “Ctrl + Alt + Shift + C”이다.2. 생성시 보여지는 카메라 설정(Camera Settings) 옵션에는 카메라의 이름(Name), 타입(Type), 렌즈 길이(Preset), 필름 크기(Film Size), 줌(Zoom), 초점거리(Focal Length), 심도(Depth of Field), 조리개(Aperture) 등을 조정할 수 있다. 3. 카메라 레이어(Camera Layer)만이 가지고 있는 메뉴로 Transform 메뉴에 있으며, 보이는 시점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
-
[애프터이펙트] 13일차 애프터이펙트의 3d..카테고리 없음 2024. 6. 12. 02:42
3D는 기존 2D가 가지고 있는 X축과 Y축에서 Z축이 추가된 것을 말한다. 에프터이펙트에서는 X축을 빨간색으로 표시하고, Y축은 초록색, Z축은 파란색으로 기준점을 표시한다.2. 타임라인에서 레이어(Layer)의 큐브 모양 아이콘을 클릭하면 3D 속성을 지닌 레이어로 전환된다. 3D 작업을 할 때 반드시 이 큐브 아이콘을 클릭해야 한다.3. 3D 화면을 제어하는 “Unified Camera Tool”의 단축키는 “C”이다.4. Unified Camera Tool은 Oribit Camera Tool(회전 툴), Track XY Camera Tool(핸드 툴), Track Z Camera Tool(줌 툴)을 통합하는 툴이다.5. 뷰포트(Viewport)에서 Unified Camera Tool 모드일 때, ..
-
[후디니] Lock Camera/Light 버튼: 전지적 카메라/라이트 시점... 빙의..카테고리 없음 2024. 6. 10. 10:22
Houdini에서 "Lock Camera/Light" 버튼은 사용자가 특정 카메라나 라이트를 뷰포트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버튼을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카메라/라이트 고정: 선택한 카메라나 라이트의 시점으로 뷰포트를 고정시켜, 해당 카메라/라이트의 시각적 관점에서 장면을 보거나 편집할 수 있습니다. 이는 복잡한 씬에서 카메라나 라이트의 정확한 위치와 방향을 조절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실시간 업데이트: 카메라나 라이트의 속성(위치, 방향 등)을 조정할 때, 뷰포트는 이 변경사항을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사용자가 변경의 결과를 즉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합니다."Lock Camera/Light" 기능을 사용하면 더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며, 시각적인 피드백이 중요한 조정에서 ..
-
[애프터이펙트] 모션스케치/ 위글러 / 스무더 / 포지션패스카테고리 없음 2024. 6. 9. 18:38
모션 스케치(Motion Sketch)는 마우스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임을 만들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2. 포지션 패스(Position Path)는 별도의 패스(Path)가 그려질 때 패스의 Start Point와 End Point를 기점으로 이미지의 움직임을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기능을 말한다.3. 위글러(Wiggler)는 이미지 또는 영상 등을 흔들어줄 때 사용할 수 있다. 키프레임(Keyframe)이 2개 이상 생성되어 있을 때 사용 가능하며, 2개 이상의 키프레임이 선택되어야만 Apply 버튼이 활성화된다.4. 스무더(Smoother)는 기존에 생성된 모션 키프레임을 부드럽게 다시 만들어주는 기능을 말한다. 타임라인에서 부드럽게 만들 키프레임이 선택되어 있어야만 Apply 버튼이 활성화된다.5. 자..
-
[애프터이펙트] 레이어 혼합카테고리 없음 2024. 6. 9. 18:10
1. Normal(기본 혼합) 1) Normal : 기본값 2) Dissolve : 레이어가 작은 픽셀로 생성되며, 투명도(Opacity)를 줄여서 사용한다. 3) Dancing Dissolve : Dissolve와 같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픽셀이 움직인다.2. Subtractive(감산 혼합) 1) Darken : 상, 하 레이어 중 더 낮은 RGB 값을 적용 2) Multiply Darken : 보다 어두움 (감산 혼합 시 주로 사용) 3) Color Burn : 상위 레이어의 어두운 부분에 대비값(Contrast)가 증가하여 하위 레이어와 합성한다. 4) Classic Color Burn : Color Burrn과 동일한 효과이지만 더 밝다. 5) Linear Burn : 하얀..
-
[애프터이펙트] 12일차 - 조정레이어 adjustment layer카테고리 없음 2024. 6. 9. 17:35
조정 레이어(Adjustment Layer)는 하위 레이어에 효과를 모두 적용할 때 사용한다.2. 조정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축키는 “Ctrl+Alt+Y”이며, 메뉴 창에서 Layer > New > Adjustment Layer를 클릭하여 생성할 수 있다.3. “Hue/Saturation” 효과는 색조와 채도를 설정할 때 사용한다.4. “Levels” 효과는 레벨로 이미지를 보완하며, 이미지의 밝기를 조정할 때 사용된다.5. “Curves” 효과는 곡선 형태로 이미지의 밝기를 조정할 때 사용한다.6. “Shift Channels” 효과를 이용하여 이미지의 R, G, B를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7. “Fractal Noise” 효과는 노이즈를 생성할 때 주로 사용되는 효과이다.8. “Displ..